top of page

낙상사고

  • 작성자 사진: 세영 이
    세영 이
  • 2020년 10월 14일
  • 1분 분량







노인의 경우 실외보다 실내에서 낙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한국소비자원이 2013~ 2015년까지 접수된 고령자 낙상사고 위해사례를 분석한 결과 낙상사고가 일어난 곳은 주택이 72.1%로 가장 많았다.


질병관리본부 조사결과에서도 노인 10명 중 6명이 집에서 낙상을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안 내 노인 낙상이 가장 많은 곳은 침대(47%)였고, 그 뒤로 거실과 욕실(19%), 사다리(8%), 계단(5.9%) 순이었다. 노인의 경우 신체기능 저하로 실외보다는 실내생활의 비중이 높아, 실내 낙상이 실외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한다. 또 집안에선 낙상에 대한 조심성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다. 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강경중 교수는 "집은 익숙한 공간이다 보니 부주의로 인한 낙상사고가 많다"며 "낙상 예방을 위해선 오히려 익숙한 장소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 노인 낙상 방지를 위해선 침실·욕실 바닥에 미끄럼 방지 패드를 설치해야 한다. /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특히 노인의 실내 낙상은 걸을 때보다 앉거나 일어설 때, 혹은 야간에 화장실을 이용할 때 많이 생긴다. 만성질환으로 평소 많은 약을 복용하는 노인은 약물 작용으로 인해 앉거나 일어설 때 어지럼증을 느낄 때가 많다. 어지럼증을 느끼는 순간 바닥에 넘어지는 것이다. 또 야간에 화장실을 이용할 때는 시력이 나빠 문 턱이나 침실가구 등에 부딪혀 넘어지게 된다. 노인은 젊을 때와 달리 뼈가 약해 낙상의 절반이 골절로 이어지므로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노인의 실내 낙상을 줄이기 위해선 집안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노인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침대를 이용하고, 침대에서 내려올 때는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침대 바닥과 욕실 바닥에 미끄럼 방지 패드를 설치하는 것도 낙상 방지에 효과적이다. 노인은 쉽게 어지럼증을 느끼기 때문에 천천히 일어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정형외과 오현철 교수는 "조명을 밝게하고 이동에 방해가 되는 물건도 되도록 치우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척추압박골절 회복이 더딘 이유

척추압박골절 후 회복이 더딘 이유는 ‘기능적 회복’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척추압박골절 후 시간이 지났는데도 왜 이렇게 아플까요?” “뼈는 붙었다고 하는데, 왜 회복이 더딜까요?” 이런 고민을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척추압박골절 병원치료의 한계와 대처법

척추압박골절의 병원 치료는 골절 부위의 치유를 돕고 통증을 완화하는 데 중점을 두지만, 이를 완전한 치료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다음은 그 이유와 함께, 병원 치료 이후에도 필요한 관리 및 재활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 ###...

 
 
 

Kommentare


VISIT

서울 강서구 강서로 161, 1층
화곡역 번출구에서 10미터

  • w-facebook
  • Twitter Clean
  • White Google+ Icon

CONTACT US

T: 02-2699-3733

vacomed@naver.com

입금계좌

국민은행

220601-04-237061

예금주 : 바코메드

       바코메드

  • 사업자 등록번호 : 109-86-44139

  • 대표자 : 이세영

  • 의료기기판매업 제1892호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4-서울강서-0687호

  • 의료기기 광고심의필 2015-GN1-10-0028

카카오톡  ID

2699353

​또는

01053145785

bottom of page